최근 정부가 청약 시장 과열 방지를 위한 대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는데요. 올해 들어 수도권과 지방광역시까지 분양권
전매를 금지한 데 이어, 주택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 가능한 무순위 청약의 장벽을 높였다고 합니다.
정부는 다음 단계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주택 당첨자에게 실거주 의무를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는데
요. 관련 법안이 현재 국회에 발의된 상태로 청약 시장을 통한 투기를 막고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기회가 더 많이 돌아가
도록 하겠다는 취지지만, 일각에선 "부동산 시장을 과도하게 옥죄는 조치"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고 하네요.
▶ 무순위 청약 규제 강화 이어 분양권 전매 금지
코로나발 경기 침체로 집값이 하락하는 와중에도 분양 시장은 '나 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새 아파트 가격
은 결국 오른다는 믿음이 강한 데다, 서울 등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규제로 분양가가 주변 시세에 비해 수억원 저렴
하기 때문입니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분양된 단지 중 40% 이상이 20대1이 넘는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는데요. 청약 시장이 과열
되자 정부는 지난 11일 수도권 대부분과 지방광역시에서 공급되는 민간 아파트의 분양권 전매를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
히기도 했습니다.
2017년 서울 등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지난 2월 조정대상지역의 분양권 전매를 묶은 데 이어 대상 지역을 크게 확대한
것인데요. 실거주 목적이 아니라 당첨받은 후 되팔기 위해 청약 시장에 진입하는 투기 수요가 많다고 봤기 때문으로 풀
이가 됩니다.
앞서 정부는 무순위 청약에 대한 규제도 강화했는데요. 무순위 청약 물량은 본청약 당첨자가 계약을 포기하거나 부적격
취소 등으로 잔여분이 생기는 경우에 나오는 물량을 말합니다.
주택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청약할 수 있어 다주택자에게 청약 기회가 돌아간다는 비판이 일었기 때문에 정부는 작년 5
월부터 서울 등에서 예비 당첨자를 전체 공급 물량의 500%까지 선정하도록 했는데요.
지난 3월부터는 수도권과 지방광역시 예비 당첨자 비율도 기존 40%에서 300%로 확대하고, 예비 당첨자를 늘려 무순위
청약 물량이 사실상 나오기 어렵게 만들도록 했다고 합니다.
▶ 다음 카드는 실거주 의무화
정부가 내놓을 다음 카드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 주택에 대한 의무 거주 기간 부여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하는데요. 현재
'분양가 상한제 주택 입주자는 최초 입주 가능일부터 5년 이내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해당 주택에 거주
해야 한다'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이 국회 국토위에 계류돼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하반기 분양가 상한제 본격 시행 시기에 맞춰 연내 통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청약 당첨자가 입주 기간에 해당 주택에 들어오는 게 불가능할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집을 팔
아야 하며 지자체에는 입주민이 실제 거주하고 있는지 조사할 권한을 준다고 하는데요.
거주 여부를 속이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고, 다만 해외 체류 등 부득이한 경우엔 해당
주택에 거주한 것으로 인정해 준다고 합니다.
이 법안을 두고 이미 전매 제한 제도가 있는데 거주 의무 기간까지 두는 것은 과도한 재산권 침해라는 비판도 나오는데
요. 법안 논의 과정에서 "전세 공급이 위축돼 임대차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고 하네요.
정부의 잇따른 조치가 청약 시장 과열을 해소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보는 시선들이 많은데요. 전문가들은 수도권 청
약 과열이 새 아파트 공급 부족과 지속적인 집값 상승에 기인한 만큼, 인기 지역의 청약 열기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고 합니다.
실제 지난 3월 청약을 받은 경기도 '과천 제이드 자이'는 공공 분양이라 전매 제한 10년, 의무 거주 기간 5년이 적용됐지
만 2만5000여명이 몰리며 경쟁률 193대1을 기록하기도 했는데요.
청약 가점이 낮고 현금 동원력이 부족한 30~40대가 청약 시장에서 소외되는 현상도 가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박원갑 KB
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실거주 의무가 부과되면 청약 당첨 후 전세를 놓아 잔금을 치르고, 후에 돈을 모아 본
인이 입주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며 "중도금과 잔금 대출 규제도 강화되고 있어 청약 시장이 현금 부자에게만 계속 유
리해지고 있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office-worker-storys.tistory.com/162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 강화
국토교통부가 수도권과 지방광역시에 대해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을 8월부터 소유권 이전등기 시(입주시점)까지로 강화한다고 하는데요. 이 같은 조치로 청약시장에서도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
office-worker-storys.tistory.com
office-worker-storys.tistory.com/153
사전청약제 3기신도시 히든카드
정부가 3시 신도시의 속도감 있는 주택공급을 위해 '사전청약제'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다고 하는데요. 본청약까지 7~8년이 소요된 보금자리 주택의 사례를 교훈 삼아 택지확보 후 사전청약제를
office-worker-storys.tistory.com
'부동산 이날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차 신고제 도입, 6월부터! (0) | 2020.05.22 |
---|---|
전세, 월세 집계약 묵시적 갱신 안하려면 2개월전 통지 (0) | 2020.05.21 |
'낡은 빌라' 나왔다 하면 팔린다.. (0) | 2020.05.19 |
분양권 전매제한 강화에 내집마련 어려워지는 무주택자 (0) | 2020.05.18 |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 강화 (0) | 2020.05.17 |